국어13 국어 공부 필수 강좌! - ebs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 https://www.ebsi.co.kr/ebs/pot/potg/retrieveSeriesSubjectList.ebs?seriesGrpId=PKG_0277&seriesId=PRO_1615EBS의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는 수능 국어를 대비하기 위한 교재로, 국어 개념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교재는 문학, 독서, 문법 등 다양한 영역을 다루며, 윤혜정 선생님의 강의와 함께 활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주요 교재 목록: • EBS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 (2025년용): 2025학년도 수능 대비를 위한 국어 개념서로, 문학과 독서, 문법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EBS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 워크북 (2025년용): 본 교재와 함께 사용할 수.. 2025. 1. 8. 2023시행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1월 수능국어영역 문제, 정답, 해설, 등급컷, 오답률 024학년도 대수능이 끝났습니다. 수험생 여러분, 학부모님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올해 불수능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국어 등급컷도 작년에 비해서 1~2문제 정도의 점수만큼 내려갔습니다! 킬러문항이 배제되면서 쉬워질 것이라는 예상과 다르게 흘러갔죠 ㅠㅠ 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blog.naver.com/creativeedu/223268097934 2023시행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11월 수능국어영역 문제, 정답, 해설, 등급컷, 오답률 안녕하세요. 창조적인 교육입니다. 2024학년도 대수능이 끝났습니다. 수험생 여러분, 학부모님들 모두 수고... blog.naver.com 2023. 11. 20. 고1 국어 중세국어, 관동별곡 자료를 모아논 곳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고1 아이들이 국어를 배우면서 가장 어려워 하는 부분이 중세국어와 관동별곡입니다~! 고1 국어 - 국어의 변천 중세국어 정리(음운 파트) 고1 국어 - 국어의 변천 중세국어 정리(주격조사, 어미, 높임표현 현대국어와 비교(석보상절 분석, 관련 기출) 고1 국어 - 중세국어 문법개념 기출문제(주격,목적격,관형격 조사, 모음조화, 객체 높임 등 고1 국어 - 중세국어 문법개념과 기출(with 세종어제훈민정음, 용비어천가 학습내용과 기출) 모음 고1 국어 - 시험직전 필수! 중세국어 세종어제훈민정음 분석, 용비어천가 2장 125장 분석 학습활동지고1 국어 - 중세국어 문법 세종어제훈민정음 최신 총정리 학습지 고1 국어 - 중세국어 용비어천가 기출문제 모음 고1 국.. 2023. 11. 3. 2024대입! 올해 수능! 국어, 영어의 중요성! 더 커질 예정입니다! 두둥! 9월 모의평가 성적표가 배부되었고, 채점 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아이들 책상 위에 올려진 9월 모평 성적표를 보고 있자니 수능이 코앞이라는 사실이 느껴집니다. 관련 기사를 소개하면서 공부를 더 열심히 하라고 응원하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ㅎㅎ 기사 제목 : 올해 9월모평 채점결과 분석... 수능 국어 중요성 올라갔다 주요내용 - 수학이 쉽게 출제되면 국어와 영어는 어렵게 출제 될 가능성 높아 - 수능 난이도, 9월 모평 난이도와 전반적으로 비슷하게 출제될 가능성 있어 - 과목별 난이도 예측하여 대비하기보다, 자신의 현 학습상황 고려하여 학습계획 수립 필요 - 남은 기간 학습 전략 1. 취약한 영역 파악 후 보완 2. EBS 교재를 통한 마무리 3. 문제풀이를 통한 실전 대비, 오답노.. 2023. 10. 9. 정철의 가사 <관동별곡>에 나오는 ‘평구역’은 오늘날 어디? 정철의 가사 에 나오는 ‘평구역’은 오늘날 어디일까? 관동별곡에 서사 부분에 평구역이 나옵니다. 말 그대로 '역'입니다. 그리고 그 평구역을 해설 등에서 '양주'라고 설명합니다. 어? 양주? 오늘날 경기도 북부에 양주가 있습니다. 그래서 평구역이 오늘날의 양주라고 착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구역 다음 여정이 여주인데, 여주는 남쪽이니 여주를 가는 길에 아래쪽으로 안가고 위로 갔다가 아래로 가는 게 이상하지 않나요? 자료는 하나 보면, 어라? 이 자료는 평구역(양주)을 서울의 아래쪽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여주를 가려면 이쪽으로 가는 게 맞죠! 그런데 의문이 들었습니다. 평구역이 저기가 맞나? (결론은 여기도 아닙니다!) 찾아보니, 아! 주소?가 있군요! 지도에 찾아보니 한강 위쪽 남양주시가 당시의 평.. 2022. 9. 30. 문학의 개념 - 영탄법과 설의법의 차이 문학 개념을 기출로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학생들이 문학 개념을 공부하면서 많이 헷갈려하고 어려워하고, 질문을 많이 하는 개념들을 모아서 정리해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영탄법 설의법 이 두 가지 표현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차이를 집중 조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탄법 : 감탄사나 감탄 조사 따위릉 이용하여 기쁨, 슬픔, 놀아움 같은 감정을 강하게 나타내는 표현 방법. 아! 오! 보았는고! 따위이다. 일단 위의 내용은 사전적 정의입니다. 그럼 문학에서는 어떻게 개념을 정리할까요? 영탄법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감탄사를 활용한 영탄법 예) 아! 어즈버! 아으! 등등 2. 감탄형 어미 예) 하는구나! 하도다! 등등 3. 의문형 어미 .. 2022. 2. 6. 문학의 개념 - 대화체 vs 말을 건네는 어투의 차이, 독백체 vs독백 상황? 문학 개념을 기출로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학생들이 문학 개념을 공부하면서 많이 헷갈려하고 어려워하고, 질문을 많이 하는 개념들을 모아서 정리해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독백체 대화체 이 두 가지 표현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차이를 집중 조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독백체 : 독백 상황에서 화자 혼자 중얼거리는 식으로 말하는 어투 기본적으로 시는 독백의 느낌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혼자 중얼거리는 식의 시가 많다는 것이죠! 아래 2개의 시를 보시죠! (가) 시와 (나) 시 모두 독백체가 쓰였습니다. 그런데 (가) 시에 대화체가 쓰였다고 속이고 있네요^^ (가) 시를 보고 '~요'와 같은 경어체 표현이 말 하는 것처럼 느껴지고 이게 독자에게 말.. 2022. 2. 5. 국어 문법 - 형태소 분석 - 의존명사, 서술격 조사 형태소 분석 방법, 신발은 신발인가 신+발인가? 1. 의존명사의 행태소 분석은? 의존명사는 말 그대로 명사이다. 하지만 관형사 혹은 관형어와 함께 쓰여야 하기 때문에 의존명사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기능적으로 봤을 때,홀로 쓰일 수 없고 따라서 의존형태소! 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의존명사도 명사이고, 의존명사가 의미적으로 자립성을 지니기 때문에 그리고 일반 명사들과 동일한 위치에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자립형태소'로 봐야 한다! 아래는 관련 내용에 대한 국립국어원의 대답이다. 참고하세요^^ 2. 서술격 조사 '이다'는 어떻게 형태소 분석을 해야 되나요? 이 부분은 견해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사실 견해 차이를 학교 문법에서 하나하나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기본적으로 조사는 1개의 형태소이다. 하지만 서술격.. 2021. 11. 10. 국어 문법- 품사와 문장성분의 관계, 품사와 문장성분의 차이 품사를 설명하면서 문장성분을 함께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보니, 이렇게 품사와 문장성분의 관계, 차이에 대해서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품사는? 단어의 이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문장성분은? 단어의 역할이구요! 어떤 사람의 이름은 바뀌지 않지만, 역할을 어디에 위치하냐에 따라 달라지잖아요? 동그라미에 들어갈 말이 무엇일까요?? 네! 맞습니다! 바로 격조사입니다^^! 명사가 문장 안에서 7개의 문장성분 전부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죠! 주격조사를 붙이면 주어로 서술격조사를 붙이면 서술어로 목적격조사를 붙이면 목적어로 보격조사를 붙이면 보어로 관형격조사를 붙이면 관형어로 부사격조사를 붙이면 부사어로 호격조사를 붙이면 독립어로 기능을 합니다! 품사와 문장성분은 이렇게.. 2021. 11. 10. 단어의 형성 - 굴절접사, 어간/어미 ,어근/접사, 어간과 어근 구별법! 형태소, 단어의 짜임을 배우다보면, 난관에 부딪힙니다. 단어의 형성(짜임)에서 '먹다' 예쁘다' 와 같은 단어는 분명 1개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일어'로 배우는데, 이를 형태소 분석할 때, 먹- + -다 예쁘- + -다 로 분석하니까요! 그래서 단어의 형성 파트에서는 용언의 단일어에서 ' '-다'와 같은 아이들을 논외로 친다고 배웁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우리가 '-다'는 어미로 배우는데, 그냥 어미라고 하면 안되나? 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미는 항상 어간과 짝궁입니다. 어간과 어미가 세트이죠! 근데 단어의 형성 파트에서 어근을 이야기해놓고 어근이 어미랑 결합한다고 해버리면 이상해집니다. 어근은 접사랑 짝꿍이라서 어간과 접사 어근과 어미 이렇게는 짝을 이룰 수.. 2021. 10.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