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언어2

국어문법 학습4 - 실질, 형식, 자립, 의존 형태소와 굴절접사, 형태소분석방법 교과서 언어와매체 수업 자료입니다. ​ 형태소라는 개념이 학생들에게 생소하긴 합니다. 그래서 정의부터 잘 잡고 가야하죠! 형태를 갖춘 요소라고 하면 이해가 쉬울까요? 이때 형태는 의미를 가진 형태를 말합니다! ​ 형태소는 '의미'를 가져야 하죠! ​ 근데 그 의미가 우리가 흔히 아는 어휘적, 실질적인 의미가 아니라 문법적인 의미까지 포함이라 어렵게 느낄 수도 있습니다 ㅠㅠ ​ ​ ​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나뉘고 ​ 의미의 성격에 따라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로 나뉩니다. ​ ​ 이때 주의해야 할 녀석이 바로 용언의 어간! 입니다! ​ 다른 경우는 실질형태소이면 자립형태소, 형식형태소이면 의존형태소인데, 용언의 어간만 실질형태소임에도 의존형태소이죠!! ​ 예를 들어 '먹다'의 어간 .. 2021. 11. 17.
단어의 형성 - 굴절접사, 어간/어미 ,어근/접사, 어간과 어근 구별법! 형태소, 단어의 짜임을 배우다보면, 난관에 부딪힙니다. ​ 단어의 형성(짜임)에서 ​ '먹다' 예쁘다' 와 같은 단어는 분명 1개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일어'로 배우는데, 이를 형태소 분석할 때, ​ 먹- + -다 예쁘- + -다 ​ 로 분석하니까요! ​ 그래서 단어의 형성 파트에서는 용언의 단일어에서 ' '-다'와 같은 아이들을 논외로 친다고 배웁니다. ​ 그런데 일반적으로 우리가 '-다'는 어미로 배우는데, 그냥 어미라고 하면 안되나? 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어미는 항상 어간과 짝궁입니다. 어간과 어미가 세트이죠! ​ 근데 단어의 형성 파트에서 어근을 이야기해놓고 어근이 어미랑 결합한다고 해버리면 이상해집니다. ​ 어근은 접사랑 짝꿍이라서 어간과 접사 어근과 어미 이렇게는 짝을 이룰 수.. 2021. 10. 28.
728x90